- 일자 : 12년 1월 20일(금)~1월30일(월) *10박 11일
- 장소 : 네팔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 트레킹
- 인원 : 21명(국내 가이드 1명 포함)
*현지 가이드 및 포터 그리고 주방팀 포함 총인원 약 55명 정도
- 이용여행사 : 혜초여행사 광주지점(지점장 - 정오승)
- 트레킹 경비 : 290만원(현지 가이드팁 포함 일체경비)
*추가경비: 호텔 매너팁 및 롯지에서 배터리 충전료 및 샤워비 그리고 추가 주류)
(트레킹 일정)
*1일차 : 광주-인천공항-네팔 카트만두(1350) *1박
*2일차 : 카트만두(1350)-포카라(820)-나야풀(1070)-비레단티(1050)-힐레(1400) *2박
*3일차: 힐레(1400)-티케둥가(1540)-울레리(1960)-반단티(2210)-고라파니(2860) *3박
*4일차 : 고라파니(2860)-푼힐전망대(3210)-고라파니(2860)-구릉힐(3200)-데우랄리(2983)-반단티-타다파니(2680) *4박
*5일차 :타다파니(2680)- 추일레(2245)-구루중(2050)-촘롱(2170)-시누와(2300) *5박
*6일차 : 시누와(2300)-밤부(2400)-도반(2590)-히말라야롯지(2900)-데우랄리(3200) *6박
*7일차 : 데우랄리(3200)-마차푸차레베이스캠프(MBC)(3700)-안나푸르나베이스캠프(ABC)(4130) *7박
*8일차 : 안나푸르나ABC(4130)-마차푸차레MBC(3700)-데우랄리(3200)-히말라야롯지(2900)-도반(2590)-밤부(2400) *8박
*9일차 : 밤부(2400)-시누와(2300)-촘롱(2170)-지누단다(1780) *9박
*10일차 : 지누단다(1780)- 뉴브릿지-큐미-사울리바잘(1220)-비레단티(1050)-나야풀(1070)-포카라(820) *10박
*11일차 :포카라(820)- 카트만두(1350)-인천공항-광주
(해발고도는 지도마다 약간씩 다르니 참고바람)
트레킹 마지막 일정인 11일차
*11일차 :포카라(820)- 카트만두(1350)-인천공항-광주
(1월 30일 월요일)
- 07시 50분 포카라 호텔에서 아침식사후 포카라 공항으로 이동
- 08시 05분 포카라 공항 도착
- 08시 50분 포카라 공항 이륙
- 09시 30분 카트만두 트리뷰반 국내선 공항 도착
- 10시 10분~45분 힌두교 사원인 파슈파티나트 사원의 화장터 관람
- 11시 20분 카트만두 시내 식당 도착후 점심
- 12시 45분 카트만두 식당에서 점심후 출발
- 15시 45분발 카트만두 트리뷰반 공항 이륙
- 1월 31일 01시경 인천공항 도착(5시간 30분 정도 소요됨)
- 05시 40분경 광주 도착후 아침식사후 06시 30분경 해산
이제 이곳 안나푸르나 트레킹의 마지막 일정이다
오늘은 이곳 포카라에서 국내선 비행기를 타고 수도인 카트만두로 이동하여
점심을 먹고 카트만두 공항에서 오후 시간인 15시 45분(네팔시간...한국보다 3시간 15분 늦음) 비행기를 타고
그리운 우리나라의 인천공항으로 가게된다
암튼 네팔에서의 마지막 밤을
포카라의 샹그릴라 호텔에서 보내게 된다
암튼 어제 저녁도 변변치 못하게 먹은지라 아직도 편하지 않은 뱃속이
신경이 쓰이지만 그래도 약을 먹은후여서 그런대로
좋아지는 느낌이다
하지만 언제 어떻게 돌발 상황이 생길지 모르니 늘 신경이 쓰이는 것은 마찬가지...
그래도 이곳 포카라의 샹그릴라 호텔에서 비교적 잠을 잘 자고
아침에 일어나 호텔의 식당으로 가서 아침을 먹게 된다
오늘 아침의 호텔 메뉴는 그나마 어제 저녁보다는 그래도 양호한 편이다
일단 계란후라이와 삶은 달걀 그리고 특유의 향이나는 밥으로 간단하게
요기를 하고 다시 방으로 가서 짐을 정리해서 밖으로 내놓는다
아침을 먹고서 호텔 밖을 바라보니 정원이 잘 꾸며져 있어서
주변이 아름다운 모습이다
그리고 정원을 바라보다가 문뜩 멀리 바라보니 희미하게 설산이 보인다
저곳이 어디인가 하고 바라보니 글쎄 우리가 다녀왔던 안나푸르나 산군이 아닌가...
포카라의 샹그릴라 호텔에서 당겨본 안나푸르나 산군
왼쪽부터 남봉과 히운출리 그리고 가운데에 우뚝 솟은 마차푸차레가 희미하게 보인다
그러나 지난번의 날씨와 달리 안개가 많이 끼어서 아름다운 설산이 선명하게 보이질 않고
희미하게 보여서 아쉽다
호텔을 떠나면서 담아본 모습
이곳 호텔은 높게 지은 건물이 아니어서 더 정감있게 보인다
아침을 먹고 짐을 정리한 후에 출발준비를 마치고 호텔 밖으로 나오니 일행분들이 모여있고
또한 말끔한 모습으로 나타난 팀장인 다와가 반가운 인사를 한다
그리고 다와가 새로운 점퍼를 입고 왔는데 저옷은 함께한 신원옥씨가
선물을 한 것이라고 한다
호텔 입구에서 출발을 하기전에 일행분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김명수님 작)
하룻밤 묵은 포카라의 샹그릴라 호텔 입구의 모습
암튼 이곳 포카라에서 국내공항으로 이동을 하기위해 준비를 하고서
우리의 전속 버스를 타고 포카라 공항으로 이동을 한다
그리고 이곳 포카라 날씨를 보니 다행히 그런대로 좋아서
예정대로 비행기가 뜰 것 같다고 하니 안심이 된다
포카라 공항에 도착하여 카트만두로 가는 비행기 티켓을 다시 담아본다
날씨가 좋지 않으면 포카라에서 버스를 타고 카트만두까지 머나먼 기을 가야 되는데
오늘 날씨가 다행히 나쁘지 않아서 예정대로 비행기가 뜬다고 한다
암튼 이곳 네팔까지 힘들게 왔는데 트레킹 일정동안 날씨가 협조해줘서
좋은 추억을 만들고 가는 것 같다
물론 날씨까지 협조를 잘해주고...
포카라 공항에서 카트만두로 가는 비행기를 탑승하여 이룩을 할려고 달리고 있는 비행기에서 담아본다
그리고 지난번 카트만두에서 포카라로 올때와 마찬가지로 히말라야 설산을 보기위해
좋은 자리를 차지할려고 앞자리에서 기다린 후에 얼른 비행기를 탑승하여
이제는 왼쪽의 자리에 먼저 자리를 잡는다
이곳 포카라에서 카트만두로 갈때는 왼쪽이 히말라야 설산을 보게되는 자리라서
이번에도 역시 왼쪽에 자리를 잡았다
비행기가 이륙하여 안정된 고도에 접어들어 왼쪽의 히말라야 산군을 담아본다
자세하지는 않지만 아마도 저곳이 마나슬루 산군일 것 같은데...
역시 국내선 쌍발 비행기는 소음이 심했다
그리고 지난번 우리가 타고온 비행기와 같은지 여승무원도 같은 승무원이었다
역시 이번에도 귀를 막으라고 솜을 나눠주고 또한 사탕까지 주었다
암튼 오늘 포카라에서 카트만두로 가는 비행기에서 바라보니 지난번에 비해서
구름이 많아서 선명한 히말라야 설산을 볼수가 없어서
오늘은 사진을 별로 찍지 않았다
물론 지난번 모습과 똑같기에...
국내선 비행기를 타고서 이곳 카트만두 공항에 무사히 착륙을 하였다
국내선 탑승장에서 빠져 나오니 역시 수많은 오토바이가 주차되어 있었고
또한 공항 주변은 포카라의 날씨와 달리 매캐한 매연과 함께 매우 소란스럽고 정신이 없었다
국내선 공항에서 빠져나와 주차장에 도착하니 지난번에 우리가 카트만두에 도착을 했을대 이용했던
버스가 다시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리고 짐꾼들이 카고백을 가지고 와서 버스에 실은후 얼마후에 정대장님이 뭐라고 하신다
다행히 이상없이 포카라에서 이곳 카트만두로 이동을 하여 지금 시간이 약 11시 정도인데
오후의 비행기 시간까지 약 2시간 가까이 시간이 여유가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정대장님이 하신 말씀이
시간이 좀 여유가 있으니 제안을 하겠다고...
일단 한가지는 아직 쇼핑을 하지 못한 분들을 위해서 쇼핑을 할것인가
아니면 공항에서 가까운 힌두교 사원에 가서 화장터에 들러 화장터를 볼것인가 하고 물어온다
그래서 우리는 그다지 쇼핑도 할것이 없으니 화장터에 가보자고 하였다
그래서 정대장님이 알았다고 하시고
카트만두의 화장터에 대해서 잠깐 설명을 해준다
이곳 네팔은 국교가 힌두교 이다보니 장례문화는 화장문화라고 한다
그래서 힌두교가 절대적인데 이곳에서 가까운 곳의 파슈파티나트 옆 바그마티 강변에 힌두교 사원이 있는데
네팔에서는 이곳 바그마티 강변에서 화장을 하여 강물에 뿌려진 것을 영광으로 안다는 것이다
그래서 도대체 어떤 곳이길래 하고 의문이 들었는데
직접 화장터를 보고서는 우리나라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화장문화여서 좀 놀라기도 하였다
암튼 강변이라고 해서 그다지 큰 강변이 아니고 우리가 살고있는 광주천의 규모보다 더 작다고 하였다
공항에서 약 5분여만에 화장터 입구에 도착하여 화장터로 걸어서 가는데 입구의 도로변에는
각종 기념품을 팔고 있었다
물론 우리는 구입을 하지않고 구경만 하고 지나갔다
그리고 힌두교 사원 입구의 우측의 숲속에는 수많은 원숭이들이 뻘건 엉덩이를 드러내놓고
돌아다니고 있었다
힌두교 사원 즉 화장터 입구에서 걸어서 약 5~10분 정도에 화장터에 도착을 한다
그런데 저멀리서 영문을 모르는 연기가 피어오르고 또한 많은 분들이 보인다
힌두교 사원의 화장터에 도착을 하니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모습이 보인다
일단은 작은 강변과 바닥에 너무나 많은 쓰레기들이 뒹굴고 있었다
그리고 한쪽에는 뒷쪽에만 머리를 조금 남겨두고 삭발을 한 분에게 주술사인 듯한 분이 뭐라고
하면서 무슨 의식을 하고 있는 모습도 보였다
무슨 영문인지 몰라 어리둥절 하고 있는데 바로 정대장님이 말하기를
머리를 깍은 분이 상주라는 것이다
즉 부모가 돌아가셔서 아들이 무슨 의식을 받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암튼 이런 모습을 보니 어리둥절 하기도 하였는데
그래도 화장터라고 하니까 우리의 화장터같이 하장을 하는가 보다 했더니
세상에 처음으로 본 모습에 아연실색 하고 말았다
바로 앞에는 상주된 분이 주술사에게 무슨 의식을 받고 있고
바닥에는 여러가지의 의식물품이 보인다
그리고 작은 강변의 바닥에는 수많은 쓰레기들이 너무도 많이 보인다
그리고 건너편을 바라보니 저곳이 화장터라고 그런다
화장터?
저곳이 화장터란 말인가...
암튼 자세히 보니 건너편의 콘크리트 구조물위에 무언가를 태우고 있는 모습이 많이 보인다
그리고 정대장님이 다시 설명을 하기를
이곳 힌두교 신도들은 죽은후에 이곳 사원에서 화장을 하여 바로 앞의 강물에 뿌려지는 것을
영광으로 안다는 것이다
즉 건너편에 보이는 구조물 위에 장작인 듯한 나무가 쌓아져 있었는데
그 위에서 죽은 사람을 올려놓고 그대로 태운다는 것이다
세상에...
또한 그래도 돈이 있는 사람은 나무를 많이 사서 깨끗이 태워 강물에 뿌리는데
그나마 돈이 없는 사람은 나무도 넉넉하게 구입을 하지 못해서
완전히 태우지 않은채로 강물에 뿌린다고 한다
그럼 바로 앞의 강물이 사람을 태워서 뿌린 곳이란 말인가...
그럼 강물에서 무언가를 하고 있는 사람은 또 무엇인지...
암튼 이곳 네팔의 힌두교인들의 화장문화를 보는순간 너무나 황당하고 이해를 할수가 없었다
다만 이곳 화장문화가 이런다는데 뭐라 할수도 없지만...
건너편의 모습을 당겨보며
암튼 나무가 쌓여있는 모습이 보이는데 곧 화장을 할 모양이다
그런데 강물 아래에서 무언가를 찾고 있는 사람들이 보인다
아마도 죽은 사람을 태워서 강물에 뿌리면 바로 아래에서 돈이 될만한 금붙이 정도를 찾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또 한가지
이곳 힌두교 인들의 화장터가 곧 관광명소라는 것이다
그래서 각국의 많은 관광객이 이곳 화장터에 들러서 보고 간다고 한다
그리고 화장을 하는 모습을 가까이에 와서 사진을 찍는다고
누가 뭐라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암튼 외국의 관광객들이 삼각대까지 세워놓고 사진을 찍는 모습이 많이 보였다
건너편의 화장터를 다시 담아본다
암튼 네팔은 국교를 힌두교로 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은 한결같이 윤회설을 믿는다고 한다
죽어서 동물 아니면 날짐승으로 태어나 살다가 다시금 사람으로 태어난다고 믿는다나...
그러기 때문에 죽음 앞에서 생에 별반 애착심을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이승을 미련없이 떠나가는 듯 ...
물론 이승에서 못다한 것을 저승에서 다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일까...
암튼 힌두교인들은 이곳 사원에서 화장을 해서 강물에 뿌려지는 것을 최고로
친다고 한다
그리고 이곳 네팔에도 불교를 믿는 신도들이 있는데 불교를 믿는 신도들은
이곳에서 화장을 하지않고 다른 곳에서 화장을 한다고 한다
장작위에 올려놓고 화장을 하고 있는 모습
암튼 우리 일행분들은 처음으로 보는 네팔의 화장문화를 보고서는
너무 뜻밖이어서 의아해 하기도 했다
암튼 이곳 힌두교 사원의 화장터는 관광명소여서 많은 분들이 모여서 구경을 하고 있었다
다리에서 담아본 모습
왼쪽에는 방금전에 화장을 해서 강물에 뿌린 모양이다
그런데 왼쪽 아래의 강물에서 바께스를 들고 강물을 퍼내고 있는 사람이 보이는데
아마도 돈이 될만한 물건을 찾고 있는 모양이다
암튼 우리로서는 도저히 이해할수가 없을 것 같다
그렇지만 이곳 네팔 사람들은 이런문화를 당연시 하겠지만...
조금 윗쪽
암튼 이곳의 작은 강변 양쪽에는 힌두교 사원이 자리하고 있다
화장을 하고 있는 모습을 많은 사람들이 구경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다리 위에도 많은 분들이 구경을 하고
다리에서 아래쪽을 바라보니 연기가 많이 피어오른다
아래쪽의 화장을 하는 모습을 당겨본다
정대장님이 가까이서 보고 싶으면 가서 보고서 사진을 찍고 오라고 하였는데
일부 우리 일행분들은 직접 보고 왔으나 나는 그냥 이곳에서 보는걸로 만족을 하였다
암튼 어찌 저런곳에서 사람을 태우는지...
그리고 두분의 여성분들도 화장터의 이곳저곳을 둘러보신다
그리고 건너편을 바라보니 화장을 하기위해 죽은 사람을 들고가는 모습이 보인다
암튼 이곳 문화는 시신을 대나무로 엮어서 만든 들것에 주황색 천으로 덮어 화장터로 옮기고
가족이나 친척들은 화장터까지 시신의 뒤를 따라 맨발로 걸어간다
당겨본 건너편의 모습
암튼 나무위에 올려놓고 시신을 태우고 있고 또한 다른 시신도 화장을 하기위해 화장터로 옮겨지고 있는 모습이다
암튼 종교의 힘은 대단한 것 같다
그리고 주황색 천으로 쌓인 시신을 장작더미 위에 올려놓는다
암튼 이곳 힌두교 사원의 화장터에서 우리 문화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화장문화를 보고서
이제 점심을 먹으로 이동을 한다
화장터를 나오면서 인도공장에서 만들어 팔고있는 낯익은 H사의 i20을 담아본다
화장터를 둘러보고서 점심을 먹기위해 카트만두 시내의 한국식 식당에 도착을 한다
화장터에서 복잡한 시내를 통과하여 약 20여분 만에 식당에 도착을 하였다
암튼 조금전에 화장터에서 화장을 한 모습을 봐서 좀 그럴 것 같지만 이곳 당에서 먹은 점심은
맛이 좋았다
그리고 오늘 점심은 특별히 정대장님이 부탁한 메뉴였는데 이곳에서는 쉽게 맛볼 수 없는
멧돼지 삼겹살을 비롯하여 된장찌개와 김치찌개였다
다른 분들은 삼겹살을 너무나 맛있게 먹었지만 아직까지도 나는 속이 그다지 좋지 않은지라
나는 된장찌개로 점심을 대신하였다
암튼 이곳 식당에서 네팔에서의 마지막 밥을 먹고 공항으로 이동을 한다
점심을 먹고 식당입구에 모여서 출발준비를 한다
그리고 손에 들고 있는 쇼핑백은 처음 이곳 카트만두에 도착했을때 필요한 물건을 신청하였는데
오늘 이곳으로 가져다 주었다
물품은 몇가지 였는데 야크젖으로 만든 치즈와 원두커피 그리고 꿀 등이었다
물론 나는 구입을 하지 않았지만 정대장님이 말하기를
이곳에서 만든 야크치즈는 너무 좋다고 그런다
그리고 목에 걸고 있는 목도리 같은 천은 우리가 점심을 먹고 있을때
팀장인 다와가 밖에 나가서 사온 것인데
이곳 네팔에서는 "가타"라고 부른다고 한다
이제 우리가 곳 네팔을 떠나 한국으로 가기위해 먼길을 가는데
네팔의 전통풍습인 가타를 우리의 목에 일일이 걸어주었다
즉 먼길을 아무 사고없이 무사히 잘 가라는 뜻이라고 한다
이제 정말로 가타를 목에 거니 정들었던
네팔을 떠나는구나 하는 생각을 하니 어쩐지 마음 한구석이 허전하기만 하다
가타를 목에걸고 식당에서 나와 버스에 도착하여 버스를 타고 공항으로 이동을 한다
식당에서 버스를 타고 공항으로 이동하는 길에 밖을 보니 반가운 우리 회사의 로고가 보여 얼른 담아본다
아마도 정비소인 모양이다
공항에 거의 도착할 무렵에 조금전에 다녀왔던 힌두교 사원의 화장터가 멀리 보여서 다시 한장 담아본다
그리고 공항에 도착하여 선물을 샀던 분들은 카고백에 넣어서 다시 짐정리를 한다
물론 여러가지 물품은 기내에 가지고 타면 안되기에 될수 있으면 카고백에 넣으라고 한다
암튼 짐정리를 마치고 카트에 짐을 싣고 공항내부에 들어가서 출국준비를 하는데
매우 까다로웠다
첫번째로 우리 나라의 공항은 공항내부에는 자연스럽게 들어가지만 이곳 네팔의 카트만두의 공항은
비행기 티켓이 없으면 공항 내부로 들어갈수가 없었다
물론 공항 내부로 들어가는 곳에서 공항 직원인지 아님 경찰 또 아니면 군인인지 모르지만
암튼 입구에서 부터 검열을 하여 아무나 들어가지 못하게 하였다
그래서 우리의 팀장인 다와도 공항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기에 아쉽지만 이곳에서 작별을 한다
암튼 그동안 정들었던 다와를 이제는 정말로 이별을 한다고 하니 어쩐지 마음이 서글프다
특히 트레킹을 할때마다 맨 후미에서 늘 함께하고 궁금한 것이 있으면
물어보았던 늘산형님이 다와와 이제는 헤어진다고 하니 제일 마음이 안좋았을 것이다
암튼 공항내부로 들어가면서 그동안 정들었던 다와에게 일일이 악수를 하고
아쉬운 이별을 한다
그리고 공항내부에 들어왔어도 비행기를 타기엔 결코 쉽지가 않았다
검열이 매우 까다로웠고 검색대를 몇번이나 통과해야 되었다
(왕짜증)
암튼 몇번을 거쳐서 힘들게 검색대를 통과하여 비행기 탑승장에 도착을 한다
탑승 시간이 되어 이동을 하다가 우리가 타고갈 비행기인 대한항공을 바라보니
어쩌면 눈물이 글썽거릴 정도로 너무나 반갑기도 하다
역시 우리나라의 비행기가 좋긴 좋구나...
어찌 되었든 오랜만에 우리의 대한항공을 바라보니 마음 한편으로는 감정이 북받치기도 한다
역시 촌놈이라서...ㅎ
암튼 인천과 카트만두의 노선은 주 2회 운항하는데
대한항공이 직항노선이다
물론 타이항공도 있다고 하는데 어딘가를 거친다고 하여 우리는 직항노선인
대한항공을 왕복으로 이용 하였다
암튼 대한항공을 보니 너무 반갑기도 하고
또한 여승무원도 오랜만에 보니 너무 이쁘다 ㅎ
참고로 올때는 7시간 30분 정도 걸렸는데 갈때는 2시간 단축이 된 5시간 30분 정도
걸린다고 한다
암튼 무사히 인천공항에 도착하여(00:45) 올라올때 타고온 리무진관광 버스를 다시 타고
광주로 내려간다
그리고 광주에 도착을 하여 서로 헤어지기가 아쉬워 광주의 식당에서 묵은지뼈다귀탕으로 아침을 먹고
그동안의 네팔 트레킹 일정을 마친다
물론 아침은 우리의 정대장님이 개운하게 쏘시고...
암튼 그동안 다녀온 안나푸르나 트레킹 경험담을 작성을 한다고 하였는데
너무나 두서없이 올리다보니 보시는 분이 정신이 없었을 것이다
물론 처음 욕심은 다른 분들이 보았을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작성을 해봐야 되겠다 하는 생각을 했는데
글솜씨가 없다보니 정리가 잘 안된다
그리고 트레킹 마치고 한국에 왔을때에 며칠동안은 여행의 피로가
풀리지 않아서 매우 힘들었다
그렇지만 역시 한국에 오니 잠도 잘오고 또한 고생했던 배탈도 말끔히 바로 나아서
이제는 정상의 컨디션을 회복하였다
그래서 다시 시간만 되면 늘산형님과 작전을 짠다
체력을 길러서 힘이 있을때 다시 도전을 하자고...
그때가 언제인지 모르겠지만...
암튼 이제 또 마눌에게 말도 잘듣고 봉사를 잘 해야 겠다
그래야 언젠가 또 보내주지...ㅎ
부족하나마 이것으로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트레킹 일정을 종료합니다
바쁜 시간을 내시어 읽어 주신분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담아온 동영상 추가로 몇편 있읍니다
'안나푸르나 트레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나푸르나 트레킹 동영상 - 2편 (0) | 2012.02.20 |
---|---|
안나푸르나 트레킹 동영상 - 1편 (0) | 2012.02.19 |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트레킹(지누단다~사울리바잘~나야풀~포카라) - 10일차 (0) | 2012.02.06 |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트레킹(밤부~시누와~촘롱~지누단다) - 9일차(2편) (0) | 2012.02.06 |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트레킹(밤부~시누와~촘롱~지누단다) - 9일차(1편) (0) | 2012.02.06 |